한반도뉴스

您所在的位置: 首页 > 韩语版 > 한반도뉴스

텅텅 비어가는 저소득층 지갑

    월 소득 하위 10% 극빈층 가구의 3분기(79) 가처분소득이 2003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폭으로 줄었다. 반면 소득 상위 10%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들어 가장 많이 늘었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구조조정 여파로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소득 기준 10 분위 1분위(하위 10%)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717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16.0% 줄어든 것이다. 가처분소득은 소득에서 세금, 사회보험료, 이자비용 비소비 지출을 금액이다.

 저소득층의 가처분소득은 그동안 꾸준히 늘어나다가 올해 들어서면서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1분위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2013 4분기부터 분기 10% 내외로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4.8%)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2분기(―13.3%) 3분기(―16.0%) 하락폭을 키웠다.

 1분위 가구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이유는 경기 불황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25.8% 떨어지며 사상 최대 하락폭을 보였다. 임시 일용직 일자리가 줄어든 직격탄이 됐다. 일용직 근로자는 지난해 2분기 이후 꾸준히 증가했지만 올해 1분기에 7.8%, 2분기에 6.5% 각각 줄었다.

 1분위 가구의 사업소득도 같은 기간 16.8% 줄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영세자영업자들이 타격을 받은 것이다. 이로 인해 음식·숙박업에 종사하는 일용근로자들도 일자리를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반면 소득 410분위(상위 60%)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늘어났다. 특히 10분위(상위 10%)가구는 811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2% 증가했다. 이에 따라 3분기 기준 10분위와 1분위 가구의 가처분소득 격차는 11.3배로 2014(9.9)보다 벌어졌다.

 김광기 경북대 사회교육학부 교수는조선·해운 구조조정 여파로 중산층 임금근로자가 빈곤층으로 전락하고, 하청업체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교수는 이어소득양극화는 당분간 계속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