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하라면서…복지부 차관 "나도 병원 전화 안돼"
时间: 2022-02-18 06:57:00 来源:중앙일보作者:어환희 기자
정부가 오미크론 맞춤형 재택치료 관리체계로 전환한 지 1주일이 다 돼가지만, 여전히 현장은 혼란스럽다. 재택치료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일반관리군은 증상이 악화됐을 때 도움을 요청할 의료기관에 연결이 잘 되지 않거나 약 처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사실상 방치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복지부 차관도 '재택 치료' 전화 불통
코로나19 확진으로 재택치료를 받고 있는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료기관에 전화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류 차관은 16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저도 의료기관에 몇 번 전화했는데 전화 연결이 안 됐다"며 "재택 치료를 처음 받으신 대부분의 국민께서는 정보가 없다면 상당히 당황하고 혼란스럽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약을 처방받기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목록에 있는 병원 두 군데 정도에 전화를 걸었는데 모두 연락이 되지 않아 다른 곳에서 처방을 받았다고 류 차관은 털어놨다.
방역정책 주무부처인 복지부 류 차관은 지난 11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현재 재택치료 중이다. 10일부터 60대 이상과 기저질환자는 집중관리군으로 분류해 재택치료 시 하루 2번 건강 모니터링을 받지만, 그 외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건강 상태를 챙기고 필요하면 의료기관에 직접 전화를 해서 비대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16일 0시 기준 무증상이나 경증으로 재택치료를 받는 사람은 26만6040명이다. 이날 새로 재택치료에 배정된 6만9701명 중 87%(6만653명)가 일반관리군이다. 이들이 전화 상담, 처방받을 수 있는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에 4800여곳 있는데,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http://www.hira.or.kr/main.do)와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직접 확인해야 한다.
약 받기도 막막한 1인가구·독거노인
방역 당국은 재택치료 체계가 일주일을 지나면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고 자평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5일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특성에 대응해서 진단검사와 재택진료체계를 전환한 지 1주 정도 시간이 지났다"면서 "참여 의료기관이 확대되고 의료 현장이 익숙해지면서 새로운 재택치료체계와 진단검사체계가 안정화되는 그런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당국의 평가와 사뭇 거리가 있다. 확진자 10명 중 8명꼴인 일반관리군은 확진 직후 안내문자를 받는 것 외에 사실상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스스로 알아서 몸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해야 한다. 여기에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의료기관 문의 전화마저도 한 번에 연결이 어려운 상황이 이어진다. 그나마 동거가족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대신 증상을 말하고 대리처방을 받을 수 있지만, 혼자 사는 재택치료자는 이마저도 어렵다.
16일부터 전국 모든 약국이 재택치료 환자의 처방 의약품을 조제할 수 있게 됐지만, 1인 가구나 장년층 같은 경우는 여전히 약 수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 동작구의 재택치료자 김모(36)씨는 "목이 너무 아프고 힘이 없어서 약이 간절했는데 보건소와 재택의료기관에 전화를 수십통해도 연결이 안됐다"라며 "멀리 사는 가족에게 부탁해서 간신히 약을 공수해왔는데 혼자 앓는 동안 정말 서럽더라"고 말했다.
한 1인 가구 재택치료자는 온라인 게시판에 “감기약이 다 떨어졌는데 동거인이 없어서 약 수령을 못 했다”면서 “1인 가구는 비대면 진료 후 보건소에서 약을 가져다준다고 들었는데 (보건소에 연락해보니) 제가 사는 지역에서는 불가능하다는 답을 들었다”고 하소연했다. 배달 가능한 약국을 재택치료자 본인이 수소문하거나, 사비를 들여 퀵서비스를 신청해야 한다. 현재 방역 당국은 1인 가구나 독거 노인 등 가족과 동거인의 대리 수령이 어려운 경우엔 각 지방자치단체의 결정에 따르도록 한 상태다.
어환희 기자 eo.hwanhe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