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뉴스

您所在的位置: 首页 > 韩语版 > 한반도뉴스

치사율 14% ‘침습 A군 연쇄상구균’ 국내 상륙



해외에서 급증하는침습성 A 연쇄상구균 감염이 국내에서도 확인되면서 질병관리청이 감시체계 구축에 나섰다. 치사율이 14.4% 달하는 만큼, 당국은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질병청의 의뢰로 진행한국내 침습성 A 연쇄상구균 감시체계 구축 연구 용역에 따르면 20152024 국내에서 확인된 침습성 A 연쇄상구균 감염 사례는 383건에 달했다. 성인 환자가 319(83.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소아 환자는 64(16.7%)으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국내 공식) 침습 A 연쇄상구균 감염 감시체계가 없어 환자 발생 사망 사례를 인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침습 A 연쇄상구균 감염 감시체계의 필요성이 확인됐다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감염이 확인된 전체 환자의 14.4%(55) 사망했고 11.7%(45) 심각한 후유증을 겪었다. 전체 환자의 41.5%(159) 수술 피부 절개술을 받았으며 1.3%(5) 팔다리 절단 수술을 받았다.

A 연쇄상구균은 세계 10 감염 관련 사망 원인 하나로 꼽힌다. 대부분은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가벼운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다만 침습성 A 연쇄상구균은 균이 혈액, 근육, 뇌척수액 정상적으로는 균이 없는 신체 부위에 침투해 발생한다. 패혈증과 독성쇼크증후군 등의 질환을 일으킬 있다.

미국, 영국, 캐나다 주요 선진국들은 해당 질환에 대한 국가 차원의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질병청 관계자는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질환을 법정 감염병에 반영하는 것에 대한 세부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 밝혔다.